번호 | 제목 | 작성일 | 다운로드 |
---|---|---|---|
82 | 2020년 공공기관 청렴도측정 결과 공개 | 2020-12 |
![]() |
81 | 2020년 인권영향평가 결과 | 2020-12 |
![]() |
80 | 2020년 하반기 임직원 행동강령 및 청탁금지법 상담 현황 | 2020-10 |
![]() |
79 | 2020년 상반기 임직원 행동강령 및 청탁금지법 상담 현황 | 2020-07 |
![]() |
78 | 2019년도 공공기관 부패방지 시책평가결과 | 2020-02 |
![]() |
77 |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인권경영 추진과정 최종보고서 | 2020-01 |
![]() |
76 | 2019년도 청렴도측정결과 공개 | 2019-12 |
![]() |
75 | 2019년 청탁금지법 상담내용 현황 | 2019-10 |
![]() |
74 |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임직원 행동강령_180731 | 2018-01 |
![]() |
73 | 복지, 보조금 부정수급 관련 카드뉴스(자체제작) | 2018-01 |
![]() |
72 | 산업인력공단 반부패 협력회의 개최 결과 | 2018-01 |
![]() |
71 | 대전교육청 반부패 협력회의 개최 결과 | 2018-01 |
![]() |
70 | 자체청렴도조사 | 2018-01 |
![]() |
69 | 2018 반부패청렴 추진계획(안) | 2018-01 |
![]() |
68 | (청탁금지법) 개정에 따른 공직유관단체 매뉴얼 | 2018-01 |
![]() |
67 | (공직자윤리법)외국에서 받은 선물 신고 안내 | 2018-01 |
![]() |
66 | 공익신고자보호법 | 2017-12 |
![]() |
65 | 부패신고자 보호, 보상 안내 | 2017-12 |
![]() |
64 | 2017년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 (권익위) | 2017-12 |
![]() |
63 | 2017년도 청렴도 측정 결과 (KINS) | 2017-12 |
![]() |
62 | KINS 고위공직자 부패위험성 진단 결과 | 2017-09 |
![]() |
61 | (청탁금지법) 추석 선물 수수 허용범위 안내 (권익위) | 2017-09 |
![]() |
60 | 2017년 정부보조금 부정수급 및 사학 비리 집중 신고기간 운영 | 2017-08 |
![]() |
59 | (청탁금지법) 직무 관련 공식적행사시 금품등 수수 허용범위 안내 (권익위) | 2017-08 |
![]() |
58 | (청탁금지법) 퇴직(예정)공직자 금품등 수수 허용범위 안내 (권익위) | 2017-08 |
![]() |
57 | KINS 행동강령 준수여부 자체 설문조사 결과 | 2017-07 |
![]() |
56 | 청탁금지법 공무수행사인 현황 | 2017-07 |
![]() |
55 | 같이 만들어가는 가치있는 세상, 공익신고 | 2017-07 |
![]() |
54 | 2017년도 KINS 반부패 청렴 슬로건 공모전 결과 | 2017-06 |
![]() |
53 | 청탁금지법 해설집(권익위) | 2017-06 |
![]() |
52 | 2017년도 부패방지 시책 추진계획 | 2017-05 |
![]() |
51 | 2016년도 부패방지 시책평가 결과 (권익위) | 2017-01 |
![]() |
50 | 2016년도 청렴도 측정 결과 (KINS) | 2016-12 |
![]() |
49 | 2016년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 (권익위) | 2016-12 |
![]() |
48 | 청렴사회의 보루 공익신고 (다큐멘터리) | 2016-10 |
![]() |
47 | 공익신고자 보호제도 (시청각자료) | 2016-10 |
![]() |
46 | 정부보조금 부정수급 집중신고기간 운영 (9.1 ~ 11.30) | 2016-09 |
![]() |
45 | 청렴문화공연 공모전 | 2016-08 |
![]() |
44 | 청렴콘텐츠 공모전 | 2016-08 |
![]() |
43 | 청렴도 측정 관련 개인정보 제3자 제공사항 알림 | 2016-07 |
![]() |
42 | 반부패 청렴 관련 사연(수기) 공모전 | 2016-05 |
![]() |
41 | 공직자 행동강령 운영지침 | 2016-05 |
![]() |
40 | 부패신고자 보호보상 안내 | 2016-01 |
![]() |
39 | 부패행위 신고는 어떻게 하나요? | 2016-01 |
![]() |
38 | 2015 공직자 행동강령 우수제도 사례집 | 2015-09 |
![]() |
37 | 이야기로 보는 보조금 복지 부정신고 사례집(전자책) | 2015-10 | |
36 | 청렴사연에 날개를 달아주세요(청렴콘텐츠 창작 공모전) | 2015-09 |
![]() |
35 | CEO 청렴메시지 | 2015-09 |
![]() |
34 | 당신의 청렴사연을 보내주세요 | 2015-07 |
![]() |
33 |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관련 개인정보 제3자 제공사항 알림 | 2015-07 |
![]() |
32 | 2015년 고위직 부패위험성 진단 기본계획(안) | 2015-03 |
![]() |
31 | 2015년도 e-포스트 등 청렴 사이버교육 운영 계획(안) | 2015-03 |
![]() |
30 | 2015년도 반부패청렴정책 추진 TFT운영계획(안) | 2015-03 |
![]() |
29 | 2015년 반부패 청렴정책 추진계획(안) | 2015-03 |
![]() |
28 | 2014년도 청렴도 측정 결과 보고 | 2014-12 |
![]() |
27 | 2014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 | 2014-12 |
![]() |
26 | 반부패 청렴 Day 운영 계획(안) | 2014-11 |
![]() |
25 | 공직자 행동강령 주요 우수제도 사례 | 2014-11 |
![]() |
24 | 청렴활동 우수부서 포상 계획(안) | 2014-10 |
![]() |
23 | KINS 3.0과 함께하는 반부패청렴 아이디어 및 표어공모 | 2014-06 |
![]() |
22 | 청렴옴브즈만 구성운영 | 2014-06 |
![]() |
21 | 2014년 반부패청렴정책 확산을 위한 반부패 수범사례 | 2014-06 |
![]() |
20 | 공익신고처리 및 신고자 보호 관련자료 | 2014-05 |
![]() |
19 | 청렴마일리지 제도 운영 | 2014-04 |
![]() |
18 | 공공기관 비정상적 인사관행 개선방안 | 2014-04 |
![]() |
17 | 공공기관의 부패행위자 처벌 정상화 방안 | 2014-04 |
![]() |
16 | 행동강령교육자료 | 2014-04 |
![]() |
15 | 2014년 e-포스트 청렴사이버 교육 운영 | 2014-04 |
![]() |
14 | 2014년 반부패 청렴정책 추진계획서 | 2014-03 |
![]() |
13 | 2014년도 반부패 청렴 정책 추진지침 | 2014-02 |
![]() |
12 | 2013년도 청렴도 측정 결과 | 2013-12 |
![]() |
11 | 2013년도 반부패 경쟁력평가 결과 | 2013-12 |
![]() |
10 | 청렴활동 전담부서 우수직원 포상계획(안) | 2013-09 |
![]() |
9 | 반부패 청렴 아이디어 및 표어 공모 계획 | 2013-07 |
![]() |
8 | e포스트 청렴사이버 교육 운영 | 2013-04 |
![]() |
7 | 2013년 반부패청렴정책추진계획 | 2013-03 |
![]() |
6 | 2012년도 청렴도 측정 결과 | 2012-12 |
![]() |
5 | 2012년도 반부패 경쟁력 평가 결과 보고 | 2012-12 |
![]() |
4 | 청탁등록 및 부패신고 상담센터 구축 | 2012-03 |
![]() |
3 | 청렴마일리지 제도 | 2012-03 |
![]() |
2 | 2011년도 청렴도 측정 결과 | 2011-12 |
![]() |
1 | 2011년 부패방지 시책평가 결과 보고 | 2011-12 |
![]() |
- 진단결과에 따른 윤리수준
- 개별 조직원 측면
점 수 윤리수준 설 명 40이상 성숙단계 -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마음가짐과 행동에 윤리규범이 자연스럽게 배어있는 상태
- 지금처럼 윤리경영을 생활화 한다면 다른 직원들로부터 존경받는 직원이 될 것임
20~39 확산단계 - 윤리경영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, 실천이 다소 부족한 수준
- 조직의 윤리의식 및 수준은 나로부터 비롯된다는 적극적인 마인드 함양과 자세가 필요
20미만 도입단계 - 평상시 기존 관행대로 업무를 처리하는 경향이 있으며, 윤리규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은 수준
- 윤리는 도덕적 기본을 잘 지키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는 마인드로 공정한 업무처리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함
- 개별 조직원 측면
- 진단결과에 따른 윤리수준
- 전체 조직문화 측면
점 수 윤리수준 설 명 40이상 성숙단계 - 기업윤리가 기업활동의 최고규범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으므로 윤리경영이 조직에 안정적으로 정착된 상태
- 기업 이미지 제고와 그에 따른 생산성 향상으로 국민으로부터 신망받는 기업으로 발전 유망
20~39 확산단계 - 윤리경영이 기업의 경쟁력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는 단계로써 조직원들이 공감하고 있는 수준
- 인식하고 있는 것을 투명경영 실천으로 좀더 옮긴다면 보다 신뢰받는 기업으로 발돋움 가능
20미만 도입단계 - 윤리경영의 중요성과 실효성에 대한 조직원 전체의 마인드가 아직 정착되지 않은 수준
- 윤리경영을 하지 않는 기업은 설 자리가 없는 사실을 직원이 느낄 수 있도록 홍보 및 교육 실시 요망
- 전체 조직문화 측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