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opyright © 2021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. all rights reserved.
안전규제
규제 인프라
안전규제 인프라
규제인프라
원자력안전의 미래규제수요와 현안대응을 위한 연구를 통해 정책·제도 및 기술기준을 개발하고,
글로벌 안전규제 기술협력 및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안전규제 인프라를 탄탄히 합니다.
글로벌 안전규제 기술협력 및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안전규제 인프라를 탄탄히 합니다.
안전규제 인프라 구성
안전규제 인프라 체계
법령·기술기준

- 원자력안전법[법률]
- 원자력안전법 시행령[대통령령]
- 원자력안전법 시행규칙[총리령]
-
- 원자로시설 등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, 방사선 안전관리 등의 기술기준에 관란 규칙[원자력안전위원회 규칙]
-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
- KINS 규제기준/지침
안전연구

환경변화에 따른 맞춤형 기술개발 | 중점 추진 과제 |
---|---|
가동원전 경년열화 및 중대사고 대응체계 강화 -> 원전 인허가 사항 이행 여부에 대한 철저한 확인 및 사고 예방 규제기술력 확보 | 가동원전 안전성 확인 검증체계 및 중대사고 대응체계 고도화 |
규제 경험이 없는 원전사후 관리에 대한 규제지침 마련 -> 원전 해체 승인 이후 해체 진행단계에 필요한 심검사 지침의 적기 개발 | 해체 진행단계 안전성 확인을 위한 규제기술 검증 |
방사선 노출에 대한 국민안심 노력 지속 -> 국민 우려로 인한 사회적 비용 최소화를 위한 철저한 관리체계 개발 | 예방적 방사선 안전 규제 기술 개발 고도화 |
방재대책 실효성에 대한 국민 안심 제고 -> 방재 주민보호 기술기준 및 실효적인 대응시스템 개발 | 방재방사선비상시 주민보호조치 기술 고도화 |
국제협력

-
-
- Global Nuclear Safety
- 국제기구,후발국
- 산하위원회,기술회의,후발국 인프라 지원,다자협의체 MOU
-
- Regional Nuclear Safety
- 인접국,동북아협의체
- TRM,기술회의,MOU
-
- National Nuclear Safety
- 선진규제전문기관,공동위원회
- 기술회의,공동연구,전문가교환,MOU
-
-
Roles & Responsibilities
-
- PLAN
- 협력 수요 발굴 및 타당성 검토
- 협력 아젠다 개발
- 협력 채널 확보 및 콘텐츠, 형태,자원구성
-
- DO
- 협력 이행
-
- CHECK
- 협력 성과 및 결과물 평가
- 개선사항 모니터링
-
- ACT
- 후속조치사항 이행
- 차기회의 및 협력의제 반영
-
전문인력양성

- 국제원자력안전학교 International Nuclear Safety School
- 직원교육
-
안전규제 전문역략
- 원자력 검사원 자격
- 시설관리전문기술
- 방사선관리전문기술
- 방사능방재전문기술
- 품질보증전문기술
- 원전 시뮬레이터전문기술
- 안전규제 기반 및 공통역량
- 원자력안전규제법령
- 원자력안전규제정책
- 규제기반일반
- 규제기반특화
- 원자력안전규제계층별 리더쉽
- 규제수행 법정
-
안전규제 전문역략
- 대외교육
- 원자력안전 국민안심
- 원자력안전유관기관
- 자치단체 및 지역 주민 방재
- 원자력안전규제국제
- 국자원자력·방사선 안전 석사과정
- 원자력·방사선 국민안전
- 원자로조종사/감독자 면허보수
- 원자력안전 국민안심
- 직원교육
법령 및 기술기준 목록
- 담당부서소통실
- 연락처042-868-0892